HK 글로벌 연계전공(동남아지역연구) 개설
■ 동남아지역연구 연계전공 소개
☞ 인문한국(HK) 지원사업에 선정된 [동남아지역원]이 주관하는 동남아지역연구 연계전공은 동남아 지역사정에 능통하고 현지화된 실무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.
☞ 본 연계전공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동남아 전체를 이해하는 시야를 확보케하고 학제적 지식의 함양을 통하여 동남아 현지의 시의적 지적 체계를 구축하여 진정한 동남아지역전문가를 배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.
☞ 본 연계전공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은 현재 [동남아지역원]이 수행하고 있는 각종 연구 및 교육 사업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와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☞ 본 연계전공 과목은학년에 관계없이 수강할 수 있으며 총 36학점(2013학번 이후는 42학점)을 이수하고, 담당교수의 지도를 받아 졸업논문을 작성하여 제출하면, 자신의 학과 학위와 더불어 동남아지역학사 학위를 추가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.
☞ 자세한 사항은 2015학년도 강의시간표, 연계전공 이수안내를 참고하거나, [동남아지역원] 행정실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처 – 전화: 051-509-6637 / 이메일: admin@iseas.kr
■ 동남아지역연구 교육과정 구성
▷ 제1학기 개설 교과목
학년
| 제1학기
|
교과구분
| 교과목번호
| 교과목명
| 학점
| 시수
| 실습구분
|
2
| 전공
기본
| 공통
SEA
SEA
|
글로벌지역연구입문*
동남아의종족과사회
동남아역사**
| 3
3
3
| 3
3
3
| 이론
이론
이론
|
3
| 전공
심화
실무
| SEA
SEA
SEA
SEA
|
동남아경제발전론
동남아의대중문화
동남아의초국가적이슈
동남아의종교**
| 3
3
3
3
| 3
3
3
3
| 이론
이론+실습
이론
|
4
| 전공
심화
실무
| SEA
SEA
SEA
| 동남아와문화마케팅실습
동남아사회개발협력론**
동남아무역투자실무(Ⅰ)**
|
3
3
3
|
3
3
3
| 이론+실습
이론
이론+실습
|
▷ 제2학기 개설 교과목
학년
| 제2학기
|
교과구분
| 교과목번호
| 교과목명
| 학점
| 시수
| 실습구분
|
2
| 전공
기본
|
공통
SEA
SEA
| 현지조사방법론*
영상과동남아문화
아세안커뮤니티**
| 3
3
3
| 3
3
3
| 이론
이론
이론
|
3
| 전공심화
실무
| SEA
SEA
SEA
SEA
|
동남아정치과정론
동남아소비문화
동남아관광기획실습
동남아의예술세계**
| 3
3
3
3
| 3
3
3
3
| 이론
이론
이론+실습
이론
|
4
| 전공
심화
실무
|
SEA
SEA
|
동남아경제개발협력론
동남아무역투자실무(Ⅱ)**
| 3
3
| 3
3
|
이론
이론+실습
|
* HK글로벌연계전공 공통개설과목임.
** 동남아학부 개설과목으로 해당 강좌에서 취득한 학점은 연계전공 학점으로 인정함.
■ 개설 교과목 개요
학년
| 학기
| 과목명
| 과목영문명
| 교과목개요
|
2
| 1
| 동남아의 종족과 사회
| People and Society of Southeast Asa
| 다양한 종족과 이를 바탕으로 한 복잡한 사회구조를 이루고 있는 동남아의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증진시킨다.
|
2
| 2
| 영상과 동낭아 문화
| Visual Representation of Southeast Asia
| 영상기술이 발명된 이래로 동남아 문화가 어떻게 시각화되어 왔는가를 고찰하고, 동남아 문화의 ‘시각화‘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시도한다.
|
3
| 1
| 동남아 경제발전론
|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east Asia
| 동남아 개별국가들의 경제발전 전략과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동남아지역 경제의 역동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.
|
3
| 1
| 동남아 의 대중문화
| Popular Culture of Southeast Asia
| 동남아 대중문화의 유형, 맥락 및 현상을 고찰함으로써 동남아의 일상적인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.
|
3
| 1
| 동남아의 초국가적
이슈
| Transnational Issues of Southeast Asia
| 동남아에서 전통적인 국경단위를 넘어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들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.
|
3
| 2
| 동남아 정치과정론
| Political Dynamics of Southeast Asia
| 동남아 개별국가들의 정치적 변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동남아지역의 정치적 역동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.
|
3
| 2
| 동남아 소비문화
| Consumer Culture of Southeast Asia
| 동남아인들의 소비취향, 소비관행 및 소비유형을 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문화로서의 동남아인들의 소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한다.
|
3
| 2
| 동남아 관관기회 실습
|
Designing Southeast
Asian Tourism (Practicum)
| 공정관광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및 동남아 사례들을 학습하고, 실제적으로 동남아 공정여행을 기획해보는 기회를 갖는다.
|
4
| 1
| 동남아와 문화마케팅 실습
| Cultural Marketing in Southeast Asia (Practicum)
| 마케팅 분야에서 수요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정성적 조사 방법인 ‘에스노그라피(ethnography)’에 관한 학습 및 실습을 통해 에스노그라피를 ’문화마케팅‘ 업무에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.
|
4
| 2
| 동남아 경제 개발협력론
| Development Projects in Southeast Asian Economy
| 글로벌 국제개발 사업이 어떻게 동남아의 특성과 접목하여 전개되고 있는지 심층적인 논의와 분석을 시도한다.
|